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이 부근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토대로 비만 기준을 BMI 27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에 따르면 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열린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002~2003년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847만명의 사망과 질병 위험을 2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BMI(Body Mass Index)는 몸무게(㎏)를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비만 척도다.
키 173㎝ 남성은 체중 75㎏, 키 160㎝ 여성은 체중 64㎏이 BMI 25에 해당한다. BMI 27은 각각 같은 키에 80㎏, 69㎏인 경우다.
비만 기준이 바뀐다면 해당 체중이 되어도 비만이 아니게 된다.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 지역 기준에 따라 BMI ▲18.5~22.9 정상 ▲23~24.9 비만 전단계(위험체중·과체중) ▲25 이상 비만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연구진이 BMI와 총 사망 간 연관성을 추적 관찰한 결과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은 ‘U’자 형태가 나타났다.
관찰 시작 시점 이후 6년 내 사망자를 제외한 분석 결과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던 것이다.
저체중 BMI 18.5 미만과 3단계 비만인 BMI 35 이상에선 BMI 25 구간에 비해 사망 위험이 각각 1.72배, 1.64배 높았다.
BMI 25 이상에서 사망 위험을 살펴보면 MBI 29 구간에서 이전 구간 대비 사망 위험 증가 폭이 2배로 커졌다.
연구진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포함한 심뇌혈관질환과 BMI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BMI가 높아질수록 질병 발생 위험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다만 여기서도 BMI 25 구간을 비만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는 명확하게 나오지 않았다.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BMI 18.5 미만에서 가장 낮고 이후 점차 증가했는데 고혈압과 당뇨병은 BMI 34 구간, 이상지질혈증은 BMI 33 구간,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은 BMI 34 구간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
BMI 25 이상에서 질병 발생 위험 증가 폭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은 BMI 27 구간, 심혈관질환은 BMI 29 구간, 뇌혈관질환은 BMI 31 구간에서 이전 구간 대비 증가 폭이 커졌다.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교수는 “20년전 분석에선 BMI 23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을 보였는데 그간 체형과 생활습관, 질병 양상이 서구와 닮아가 이제는 BMI 25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금의 비만 진단 기준을 BMI 27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한국인의 적절한 진단 기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관리연구센터장도 “이번 연구는 비만 기준과 관련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최대 규모 추적 관찰 연구”라며 “중국은 이미 BMI 28 이상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상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