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감염병 ‘백일해’ 첫 사망자가 국내에서 발생했다. 방역 당국은 감염에 취약한 영·유아 보호를 위해 아이뿐 아니라 성인도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생후 2개월 미만의 첫 사망자가 국내에서 발생했다고 12일 밝혔다. 백일해 사망자 수를 집계한 2011년 이후 나온 첫 사망 사례다. 사망한 영아는 백일해 1차 예방 접종 전이었으며, 기침과 가래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찾았다가 지난달 31일 백일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후 입원 치료를 받았지만 지난 4일 증상이 악화하면서 사망했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최근 환자 수가 늘고 있다. 10월 둘째 주 1152명이던 환자(증상이 의심되는 환자 포함) 수는 10월 셋째 주 1560명으로 늘었다. 넷째 주에는 1795명까지 증가했다. 11월 첫째 주는 1474명으로 소폭 줄긴 했지만 여전히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백일해는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올해 9월까지 누적 1만3952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영아 10명(11월 8일 기준)이 사망했다. 프랑스에서도 올해 13만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했고, 35명의 사망자 중 소아가 22명(1세 미만 20명)으로 보고됐다.
질병청은 생후 첫 접종(2개월) 이전 영아가 백일해에 대한 면역을 갖고 태어날 수 있도록 임신 3기(27~36주) 임신부 예방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는 빠짐없이 2·4·6개월에 예방접종을 해야 하고, 그 외 고위험군(면역저하자, 중등증 이상 만성폐쇄성 폐 질환자), 영·유아의 부모 등 돌보미, 의료종사자 및 산후조리원 근무자 등 성인들도 백신을 접종할 것을 당부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내에서 백일해 첫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최근 증가 추세인 0~6세 백일해 발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겨울철 호흡기 감염병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전문가 합동으로 호흡기 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