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가장 적은 몸무게인 260g으로 태어난 아기가 생후 198일 만에 엄마 품에 안겨 건강히 집으로 갔다.
삼성서울병원은 엄마 배 속에서 자란 지 25주5일 만인 올해 4월 22일 260g으로 태어난 예랑이가 출생 198일 만인 지난 5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고 12일 밝혔다. 예랑이의 출생 당시 체중인 260g은 국내 최저이자 세계에서 14번째로 적은 무게였다.
퇴원 당시 예랑이 몸무게는 3.19㎏으로, 태어났을 때보다 10배 넘게 늘었다. 의료진의 헌신적인 노력 덕에 이제는 기계장치의 도움 없이 스스로 숨을 쉬고 젖병을 무는 힘도 여느 아기 못지않다.
예랑이는 엄마와 아빠가 결혼한 지 3년 만에 찾아온 귀한 생명이었다. 예랑이의 존재를 확인한 날이 11월 11일이어서 애칭이 ‘(빼)빼로’였다. 건강한 모습으로 만날 줄 알았던 예랑이는 임신 21주차부터 더 이상 자라지 않았다.
자궁 내 성장 지연에 임신중독증까지 심해지면서 애초 개인병원에 다니던 예랑이 엄마는 대학병원을 거쳐 삼성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이 과정에서 예랑이 엄마의 혈압이 점차 치솟고 복수까지 차오르는 전형적인 전자간증 증세를 보였다. 전자간증은 임신 중 발생하는 고혈압성 질환으로 임부와 태아 모두를 위태롭게 하는 대표적인 임신 관련 질환이다.
결국 예랑이는 엄마가 입원한 지 나흘 만인 4월 22일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났다. 성인 손바닥만 한 크기였다. 예랑이는 출생 직후 신생아중환자실로 옮겨져 24시간 집중 관리를 받았다. 호흡부전, 패혈성 쇼크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고 항생제, 승압제, 수혈 등 고강도 치료도 병행했다.
첫 번째 고비는 생후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았을 때 태변으로 장이 막히면서 시작됐다. 예랑이는 수술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작았던 터라 교수들이 돌아가면서 조금씩 태변을 꺼내면서 악화하지 않도록 돌본 끝에 결국 첫 변을 보게 됐다.
예랑이의 치료를 맡았던 양미선 교수는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진 모두 예랑이가 첫 변을 본 순간을 잊지 못한다”며 “반드시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이 더욱 강해졌다”고 돌이켰다.
태변을 본 예랑이는 몰라보게 호전됐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인공호흡기를 떼고 자발호흡을 시작하고 몸무게도 늘어갔다. 미숙아에 흔한 망막증도 매주 검사하고 관리해 큰 합병증 없이 무사히 넘겼다. 재활의학과에서 매일 구강·운동 재활치료를 하면서 기운도 세졌다.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진은 씩씩하게 버텨내는 예랑이에게 ‘일원동 호랑이’란 별명을 붙여줬다.
예랑이보다 조금 더 크게 태어나는 500g 미만의 신생아도 생존율은 36.8%에 불과하다. 예랑이처럼 300g 미만으로 태어나면 생존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지만 ‘기적의 생존’을 보여줬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예랑이는 퇴원 후 첫 외래 진료일이었던 전날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병원을 찾아 의료진을 안심시켰다고 한다.
장윤실 모아집중치료센터 센터장은 “예랑이는 앞으로 태어날 모든 저체중 미숙아의 희망이 될 아이”라며 “의학적 한계를 넘어 생명의 불씨를 살릴 더 많은 기회를 찾기 위해 모두의 관심과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