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농촌 고령화 등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농가 소득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이모작 공동영농(혁신농업타운)’이 성과를 내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이 사업은 농가가 농경지를 제공하는 주주 형태로 참가하고 농업을 규모화, 첨단화, 기계화해 개별로 농사를 지을 때보다 많은 소득을 거둘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영덕 달산 공동영농 지구 운영 법인은 다음 달 하순 이모작 공동영농에 따른 첫 배당금 3000원(3.3㎡당)을 참여 농가에 지급한다.
달산지구에서는 영농조합법인과 30농가가 공동으로 기존에 벼농사를 짓던 21㏊ 농지에 여름철은 콩과 봄배추, 겨울철은 양파와 가을배추를 재배하고 있다.
도는 21㏊의 논에 벼농사만 지으면 1억4800만원인 농업생산액이 배추, 콩·양파 이모작으로 전환하면 약 4.2배(6억2500만원)로 증가할 것으로 본다.
여기에 수확한 배추를 절임 배추로 가공하면 농업생산액은 11억2500만원으로 7.6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달 첫 배당 후 내년 8월에는 봄배추와 양파를 수확·판매한 후 추가 배당도 이뤄진다.
지난해부터 공동영농을 추진 중인 구미 무을지구도 올해 연말에 참여 농가에 소득을 배당할 예정이다.
지난해 초부터 첫 시범사업을 한 문경 영순지구는 농업생산액 3배, 농가소득 2배 이상이라는 성과를 보였다.
사업이 효과를 거두면서 의성과 경주, 청도, 상주에서 기존 재배작물인 벼 대신 콩, 양파, 조사료 등 다른 작물로 전환을 추진하는 등 공동영농 지구가 10곳으로 늘었다.
도는 민선 8기 들어 이철우 도지사가 역점 추진하는 농업 대전환의 핵심 시책인 혁신농업타운을 2026년까지 도내 모든 시군에 3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도지사는 “첨단화, 규모화, 기계화를 통한 농업 대전환의 성공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도내 모든 시군, 더 나아가 전국으로 이 모델을 확산해 농정 패러다임을 바꿔나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