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문학계의 숙원사업인 ‘부산문학관’ 건립이 면적과 예산 축소 없이 애초 계획대로 진행된다.
부산시는 지역 문인들과 문학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부산문학관 건립추진위원회의 최종안을 수용해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건립추진위는 지난해 11월 총사업비 290억원을 들여 금정구 만남의 광장에 전체 면적 4000㎡ 규모의 문학관을 건립하는 안을 확정했다. 그러나 시가 예산 절차를 진행하며 실시한 비용 대비 편익 분석(B/C) 결과가 0.2로 나와, 경제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부산연구원은 사업 규모를 절반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시에 제시했다.
하지만 이 소식이 전해지자, 지역 문학계는 항의 집회를 열며 축소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이후 시는 연면적 3600㎡ 규모로 축소한 대안을 마련해 중앙투자심사 준비에 나섰으나, 사업 규모 조정 없이 원안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문학관 건립의 핵심 관건은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 여부였다. 그러나 최근 제7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지방재정 투자심사제도 개선안이 의결되며 상황이 변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 자체 재원으로 추진되는 300억원 미만 사업은 중앙투자심사 대상에서 제외된다. 해당 법령이 개정되면 부산문학관은 원안대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부산문학관은 문학전시실, 창작실, 강의실, 북카페 등을 갖추고, 부산 문학의 체계적 보존과 진흥의 중심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2027년 착공해 2028년 완공이 목표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문학관을 세계적인 수준의 문학관으로 만들겠다”며 내년 초 자체 투자심사와 시의회 동의 후 국제공모 설계를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