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갖고 달아난 사기꾼을 잡으려다 아동센터를 시작하게 된 시골교회 목사가 있다. 서충자(70) 당진주님사랑순복음교회 목사는 최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10년 넘게 당진에 있는 사랑지역아동센터를 꾸리게 된 사연을 풀어냈다.
여의도순복음교회에서 부교역자로 사역하던 서 목사는 15년 전 아무런 연고가 없는 충남 당진으로 내려왔다. 그는 교회 건축을 위한 나대지를 찾던 중 560㎡(약 170평)의 공간을 얻게 됐다. 그에 더해 지인의 권유로 그 옆에 작게 붙어있던 79㎡(약 24평)의 부지를 빚으로 매입했다.
비슷한 시기 서 목사는 교회 피아노 반주자를 구하고 있었다. 그는 “교회에서 조금 먼 지역의 여자 한 분이 피아노 반주자로 오셨다. 꽤 오랜 기간 반주자로 섬기기도 했다”며 “하루는 반주자가 교회 건축한 이후 남은 잔금을 간곡한 부탁으로 빌려달라고 했다”고 회상했다.
교회 돈을 빌려 간 반주자는 그날 이후 자취를 감췄다. 연락을 취해도 닿지 않자 서 목사는 반주자의 집을 찾아갔다. 그는 “돈 받으러 집에 갔더니 10살짜리 아이가 혼자 라면을 먹고 있었다”며 “엄마는 도망갔고 집을 나간 지 오래됐다고 말하더라”고 전했다. 혼자 있는 아이에게 안쓰러움을 느낀 그는 그 길로 아이를 교회로 데려갔다. 서 목사는 “며칠 아이에게 밥을 먹이고 씻기고 돌봐줬다”며 “어느 순간 이 아이를 통해 이곳에서의 내 사명이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하라는 것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서 목사가 당진시청에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공간이 무엇인지 물었을 때 시청 직원에게서 돌아온 대답은 지역아동센터였다. 서 목사는 “시청 직원은 24평이 아동센터 최소 규모를 운영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공간이라고 추천했다”며 “시골에 아이들이 없는 줄 알지만 조손가정, 이혼 가정,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동센터를 운영하며 감사하고 복된 일도 많았지만 어려움도 많았다”며 “꽃집, 편의점 아르바이트 등을 병행함에도 경제적으로 부담이 돼 아동센터를 그만두려 하던 때도 있었다”고 했다. 그는 “운영을 중단하려고 할 때 한 아이가 ‘목사님께 버림받으면 세 번째 버림받는 거예요’라고 고백했다”며 “아이의 엄마는 집을 나간 뒤에 돌아왔지만 그날 밤 집 안에 있는 돈을 갖고 다시 도망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을 품으며 유지해 온 사랑지역아동센터가 문을 연 지 13년째 됐다. 센터의 내년은 뜻깊은 해다. 이곳에 처음 들어왔던 10살짜리 초등학생이 성인이 되는 해이기도 하며, 9명만 수용할 수 있던 공간을 내년에 확장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배다른 아이들을 양육하는 이곳에서 서 목사가 강조하는 교육은 무엇일까. 그는 ‘질서와 대가’라고 했다. 서 목사는 “센터에는 가정환경이 각기 다른 아이들이 온다. 장애 아동들도 있다”며 “아이들에게 질서와 존중의 태도를 강조하는 이유다. 하나님도 질서의 하나님”이라고 소개했다. 서 목사가 말한 대가는 받은 사랑만큼 나누는 태도다. 그는 “노력과 대가 없이는 얻는 것이 없다는 것을 가르친다”며 “아동센터가 아이들에게 사랑과 음식을 베푼 만큼 작은 일이라도 이웃 어르신, 지역 사회를 돕는 일에 힘쓰라고 교육한다”고 강조했다.
서 목사는 다음세대 사역을 하며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시간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아이들이 이해되지 않을 때 그들을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훈육하거나 소통한 뒤에는 아이들이 변화될 수 있도록 시간을 갖고 기다려주는 태도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누리소통망(SNS)과 게임에 쉽게 노출된 아이들을 일방적으로 혼내기보다는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