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도 정치 보복 소용돌이?…트럼프의 ‘살생부’ 누구

입력 2024-11-07 15:20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미국이 정치 보복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 수차례 정치적 반대자들에 대한 복수를 공언해왔기 때문이다.

미국 정치전문매체인 폴리티코는 6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의 언사를 기준으로 보복 가능성이 있는 인사는 수십명 이상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선거운동 기간 연설과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정치적 보복 가능성을 계속 언급했다. 첫번째 임기 때와 달리 보복에 나설 환경도 마련된 상황이다. 재선에 출마할 수 없고 퇴임 후 형사 책임에 대한 광범위한 면책권도 대법원에 대해 인정받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보복 대상으론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우선 거론된다. 트럼프는 바이든을 부패하다며 “그가 반역죄로 체포돼야 한다”는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올리기도 했다. 지난해엔 바이든 대통령과 그의 가족 범죄를 추적하기 위한 특별 검사 임명을 공언한 바 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의 아들 헌터 바이든은 6월 총기 관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9월 탈세 혐의에 대해서도 유죄를 인정했다.

트럼프는 대선에서 맞붙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 대해서도 불법 이민자들의 미국 침략을 허용했다며 “탄핵하고 기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주요 인사에 대한 수사를 거론한 적도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민·형사상 조치에 앞장선 인사들도 주요 타겟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성관계 입막음을 위한 회계 장부 조작, 기밀문건 불법 보관, 대선 결과 뒤집기 시도 등 혐의로 기소된 상황이다. 또한 뉴욕주는 트럼프 일가가 부동산 가치를 실제보다 낮추는 등의 방식으로 부당한 경제적 이득을 챙겼다고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트럼프는 이로 인해 4억 5000만달러(약 6284억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트럼프는 수차례 자신에 대한 형사 기소에 앞장선 잭 스미스 특별 검사나 민사 소송에 나선 레티티아 제임스 뉴욕주 법무장관에 대한 처벌을 주장해왔다.

마크 밀리 전 합참의장, 마이클 코언 변호사 등 트럼프정부 1기에 몸담은 뒤 그와 사이가 벌어진 인사들도 트럼프의 분노를 피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공화당 내 대표적 반트럼프 인사인 리즈 체니 전 하원의원을 향해서도 “반역죄로 유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외에도 2021년 국회의사당 습격 사태 당시 트럼프 지지 폭도들을 공격한 의사당 경찰대원이나 하원 정보위원장으로 트럼프 탄핵을 주도했던 애덤 시프 상원의원 당선인 등도 보복 대상이 될 수 있다.

폴리티코는 “그는 첫번째 임기 때는 정적에 대한 위협이 행동으로 이어진 경우가 없었다”며 “하지만 일부 측근들은 트럼프가 두번째 임기 때는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더 크다고 우려한다”고 전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