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찰 확대·수종 전환까지…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대응 ‘총력전’

입력 2024-11-06 13:13
드론을 통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예찰하고 있는 모습.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소나무재선충병 대응을 위해 항공 예찰 및 나무주사 접종을 확대하고 집단발생지의 수종을 전환한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5월부터 지난 4월까지 발생한 재선충병 감염목은 총 90만 그루로 전년도의 107만 그루 대비 약 17만 그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선충병이 발생한 146개 시·군 가운데 울주 포항 경주 안동 밀양 양평 구미 등 7개 시·군에서만 전체의 58%에 달하는 피해목이 발생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곰솔·잣나무 등에 치명적이지만 철저한 예찰과 진단, 지역별 맞춤형 방제전략 등을 통해 개체관리가 가능하다.

실제로 제주도의 경우 2004년 제주시 오라2동에서 재선충병이 처음 발생한 이후 2014년 기준 감염목이 54만 그루까지 증가했지만,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방제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감염목을 2만 그루 수준까지 줄였다.

단계별 방제전략 수립과 피해지역 현황을 고려한 맞춤형 방제, 한라산 국립공원 등 주요 보호지역에 대한 선제적 예방 나무주사 접종 등이 효과를 발휘했다.

산림청은 제주도의 성공사례를 분석해 보다 효과적인 방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재선충병 감염목 추적을 위해 헬기·드론·지상 등 3중 예찰체계를 강화하고, 확인된 감염목에는 QR코드를 부여해 감염목 발생현황부터 방제까지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재선충병 감염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유전자 진단키트도 보급해 확산을 보다 빠르게 차단한다. 기존에는 재선충병 감염여부를 확인하는데 3일이 소요됐지만 유전자 진단을 활용하면 30분 만에 재선충병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재선충병이 집단 발생한 특별방제구역 등은 나무의 수종을 전환해 재선충병 발생을 원천 차단한다. 전환되는 수종은 기후변화 적응력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높은 소나무류 외의 수종으로 심는다.

방제한 피해목은 훈증 등의 처리를 한 뒤 산업용재·건축재·바이오매스 등으로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화목농가 등 소나무류 취급업체에 대한 불법이동 특별단속도 실시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지자체와 협조해 가용자원을 최대한 투입하는 등 재선충병 방제에 총력 대응해야 한다”며 “재선충병 확산을 막고 건강한 숲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지원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