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제주를 비롯해 전국의 기온이 뚝 떨어진 가운데 한라산 고지대에서 올가을 첫 상고대가 관측됐다.
상고대는 영하의 온도에서 나뭇가지마다 대기 중 구름이나 안개 입자가 나뭇가지나 바위 등에 부딪쳐 생기는 얼음 결정체로 일종의 얼음꽃이다. ‘나무서리’라고도 불린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한라산 기온은 윗세오름 영하 1.2도, 남벽 영하 1도, 진달래밭 영하 0.3도 등 고지대를 중심으로 영하권을 기록했다.
이번 상고대 관측 시기는 예년에 비해 보름 이상 늦어졌다. 지난해 경우 10월 21일, 2022년에는 10월 18일, 2021년에는 10월 17일에 각각 한라산에서 가을철 첫 상고대가 발견됐다.
이날 전국 대부분의 아침 기온은 5도 내외로, 전날보다 5도가량 낮았다. 서울은 4.1도까지 내려가며 올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을 기록했다.
강원도는 철원 마현·횡성 안흥이 영하 4.4도, 화천 사내·평창 면온·향로봉 영하 3.9도 등 곳곳이 영하권으로 떨어졌다.
전국 낮 최고 기온은 10도에서 17도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절기상 입동인 7일 기온이 더 떨어지며 추위가 절정에 이르렀다가 모레부터 점차 평년기온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