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유일의 컨테이너항인 포항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다.
포항시는 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영일만에서 북극까지, 포항 북극해를 열다’를 주제로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북극항로 상용화에 대비한 영일만항의 역할과 환동해권 물류 항만으로의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포항시와 경북도, 김정재·정희용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했다.
북극해 항로는 기존 유럽-동아시아 항로 대비 거리는 약 7000㎞, 항해 기준 약 10일 단축할 수 있어 수송비 절감 등 물류 대전환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한다.
포럼에서는 영일만항의 잠재력을 재조명하고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역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논의했다.
하영석 한국해운항만학술단체협의회장은 ‘북극항로 시대 포항 영일만항의 과제’를 다룬 기조 강연에서 영일만항의 잠재력을 재조명했다.
그는 “북극항로 개설은 기존 아시아와 유럽 간의 운송 거리를 약 30% 이상 단축해 운송비 절감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며 “포항 영일만항은 북극항로의 중요한 거점으로 북극시대 도래에 따라 물류 허브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민수 KMI 경제전략연구본부 본부장은 ‘지속가능한 북극항로 시대 현황과 전망’을, 박선율 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포항 영일만항을 연계한 북극항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주제 발표를 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영일만항이 북극시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석자들은 북극은 수심이 얕아 소규모 선박만이 운항이 가능한 만큼,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육성하면 지역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북극시대 우위 확보에 이점이 클 것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시는 영일만항을 글로벌 물류의 중심으로 발전시켜 지역의 성장동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선도적인 북극항로 시대 준비로 포항 영일만항이 북극항로의 거점항만으로 거듭나 환동해권 경제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