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명태균 게이트 진상조사단’이 구성을 마치고 가동에 들어갔다. 공천·당무 및 국정 개입, 여론조사 조작 등의 의혹을 전방위로 조사하며 대여 압박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조사단은 4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 활동에 착수했다. 단장을 맡은 서영교 의원은 “명태균 게이트의 진상을 낱낱이 조사해 국정조사를 할 기반을 만들고, 특검에 이 자료가 다 쓰일 수 있도록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통령실 해명과 달리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에도 명태균씨와 연락을 이어간 것으로 드러났다며 “대놓고 하는 거짓말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서 의원 포함 현역 의원 15명이 참여한 조사단은 총 5개 본부로 구성됐다. 윤석열·김건희 공천개입/당무개입 진상 조사본부는 김병기 의원, 여론조사 조작 조사본부는 한병도 의원이 각각 맡았다. 김승원 송재봉 의원은 법률과 공익제보 조사를 이끌기로 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인 염태영 의원은 창원 산단 등 국정개입 조사본부장을 맡았다. 염 의원은 앞서 지난달 마무리된 국정감사를 통해 산단 부지 발표 직전인 2023년 1~3월 해당 지역 거래량이 전년 대비 급증했다며 사전 정보 유출 의혹을 제기했다.
염 의원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고 공정과 투명성을 훼손하는 어떤 부정·비리도 용납돼선 안 된다”며 “창원 산단 선정 과정에서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파헤치고 불법의 실체를 밝혀 정의를 바로 세우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만이 답이라며 재차 정부·여당에 특검법 수용을 촉구했다. 김승원 의원은 “대통령실과 여당은 국민의 분노를 직시해야 한다”며 “어설픈 변명으로 당장의 상황만 모면하려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