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묵은 광주 금호타이어 이전, 본격화 되나

입력 2024-11-04 11:32 수정 2024-11-04 11:33

광주 도심 발전을 가로막아온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외곽 이전 문제가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2019년부터 이전을 추진해온 금호타이어 측이 빛그린산단 땅을 사들인 데 이어 현재 공장부지 용도변경을 ‘정중동(靜中動)’ 속에서 신중히 타진 중이다.

1974년 광주 소촌동에 둥지를 튼 공장 인근에 주거지가 밀집하면서 잡다한 민원이 끊이지 않아 온 환경오염 문제 해결과 도시 균형발전에 청신호가 켜졌다.

4일 금호타이어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자로 광주와 함평 경계인 빛그린산단 내 이전부지 50만㎡(15만1250평)를 1160억8400여만 원에 매입한다고 자율공시했다.

금호타이어는 빛그린산단 ‘유형자산취득결정’ 고시와 함께 이전 후 신축하는 새 공장에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 타이어를 생산하는 첨단 생산설비를 갖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전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물류 접근성 개선으로 지역경제 성장에 이바지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금호타이어는 2021년 빛그린산단 개발 주체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광주공장 이전을 전제로 협약을 맺고 이전부지 매매대금 10%인 116억여 원을 이행 보증금으로 지급한 바 있다.

금호타이어는 광주와 전남 곡성, 경기 평택 등 3곳 등에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이 중 50년을 넘긴 광주공장은 자동화된 다른 공장과 달리 대부분 생산설비가 낡아 교체용 타이어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그동안 공장 이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돼온 소촌동 부지 40여 만㎡ 용도변경도 어느 때보다 긍정적 분위기다.

공장가동을 먼저 중단해야만 주거·상업 용지 전환이 가능하다는 관점을 유지해온 광주시가 ‘선 공장폐쇄, 후 용도변경’ 규정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관련법이 개정됐기 때문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 시행령’이 올 들어 주거 상업 공업 등 토지 기능에 따른 제한과 규제를 완화한 덕분이다.

광주공장 이전은 줄곧 ‘용도변경은 유휴 토지 또는 대규모 시설 이전부지에 한정한다’는 국토계획법 규정에 발목을 잡혀 왔다.

광주공장을 완전히 비우거나 가동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도변경을 하게 되면 특혜 시비가 불거진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시행령 개정에 따라 금호타이어 이전을 위한 선택의 폭이 넓혀졌다.

용도변경 권한을 가진 시는 공업지역인 광주공장 부지를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해 부지 매입자가 용적률, 건폐율 등 사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해 “금호타이어가 광주공장을 함평으로 이전하겠다는 확신을 심어주고 필요한 증빙자료를 제출한다면 공장 폐쇄 이전이라도 용도변경을 검토·추진하겠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금호타이어 측은 이에 따라 ‘전략적 상업용지’가 될 소촌동 공장부지를 서둘러 매각해 1조 3000억 원으로 추산되는 이전비용을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금호타이어 측은 공장 이전 이후 지방세수와 일자리 감소를 우려해온 시가 광주송정역 KTX 투자선도지구 조성과 공장부지 개발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광주 광산구는 광주송정역과 맞붙은 금호타이어 이전에 대비해 최근 부지활용 방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했다. 총 1015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 주민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전체 응답자 중 344명(34%)은 ‘문화시설’을 첫손에 꼽았다. 이어 303명(29.9%)은 대규모 복합상업공간, 222명(21.9%)은 공원, 78명(7.7%)은 첨단산업 기업유치를 선택했다.

대다수인 780명(76.8)은 악취, 매연 해소와 송정역세권 발전 추구 등을 이유로 공장 이전을 적극 찬성했다. 중립은 116명(11.4%), 반대는 42명(4.1%)에 불과했다.

광산구는 4일 오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주변 지역 발전 방향 모색 주민 공론회’를 개최해 공장 반경 2㎞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 같은 연구용역 결과를 공유하고 현안을 논의했다.

광산구 관계자는 “타이어 공장이 옮겨가면 주거환경 개선뿐 아니라, 광주송정역 주변의 발전이 속도를 내게 될 것”이라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성장의 획기적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