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 이후 지지율이 10%대로 내려가는 등 윤석열 정권이 위기를 맞은 가운데 외신마저 ‘김건희 리스크’를 지적하고 나섰다.
미국 외교 전문지 디플로맷(The Diplomat)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김건희 리스크’는 한국 대통령의 시한폭탄(‘Kim Keon-hee Risk’ Is a Ticking Time Bomb for South Korea’s President)”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윤 대통령의 가장 큰 정치적 리스크는 김 여사와 김 여사가 연루된 여러 스캔들인데 윤 대통령이 이에 대한 수사(특검)를 거부했다. 그의 임기가 지금까지 김 여사 리스크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다”라고 보도했다.
디플로맷은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과 함께 허위 이력 논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명품가방 수수 의혹 등을 열거하며 이에 대해 윤 대통령과 김 여사가 공식 사과를 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디플로맷은 “윤 대통령이 김 여사의 위법 행위를 정당화하고 축소하는 것도 똑같이 문제다. 그는 과거 정치인과 재벌에 대한 강경한 수사를 이끌며 ‘타협하지 않는 검사’라는 이미지를 얻었는데 지금은 찾아볼 수 없다”고 짚었다.
디플로맷은 특히 윤 대통령이 김 여사 특검법에 대해 두 차례나 거부권을 행사한 사실을 두고 “위법 혐의가 윤 대통령의 가족을 향했을 때 윤 대통령은 다른 잣대를 들이밀었다”면서 “그의 가족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같은 기준과 법률에 따라 책임을 질 때 법치주의는 번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디플로맷은 또 “현시점에서 보수 유권자들과 정치인들은 윤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어떤 폭탄이 등장할지 불안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