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소비 동반 감소에… ‘상저하고’ 낙관론 흔들

입력 2024-10-31 18:58

지난 9월 생산과 소비가 나란히 줄며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출 회복세를 이끌던 반도체 생산이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소비 흐름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도 하락 전환했다. 정부의 ‘상저하고’ 전망과 달리 하반기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의 투자가 늘며 설비투자는 지난 7월 이후 두 달 만에 반등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113.6으로 전월 대비 0.3% 감소했다. 지난 8월(1.3%) 4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하락했다. 광공업(-0.2%)·제조업(-0.1%)·서비스업(-0.7%) 생산이 모두 전월 대비 줄었다.

부문별로는 광공업 생산이 광업(-1.1%) 제조업(-0.1%) 전기가스업(-0.8%) 등에서 모두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도 기계장비(6.4%) 전자부품(4.7%) 등은 전월보다 늘었지만, 반도체(-2.6%) 비금속광물(-9.6%) 기타운송장비(-11.3%) 등이 크게 줄었다. 특히 반도체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도 3.0% 줄며 지난해 7월(-9.9%) 이후 14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0.9%) 등이 늘었지만 보건·사회복지(-1.9%) 등에서 감소해 지난 5월(-0.8%)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멈췄다.

소비 추세를 나타내는 소매판매액지수도 전월 대비 0.4% 줄며 지난 8월(1.7%)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를 보였다. 승용차 등 내구재(6.3%) 판매가 늘었지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5%), 의복 등 준내구재(-3.2%) 등이 줄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 판매(-9.2%) 하락폭이 특히 컸다.

정부는 반도체 등 산업 생산이 지난 8월에 집중돼 9월에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기저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9월 반도체 생산이 마이너스지만 글로벌 수요가 늘고 수출도 여전히 잘 되고 있다”며 “제조업 생산도 추석 조업일수가 하루 더 적었던 점을 감안하면 흐름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투자(17.0%)가 크게 늘며 전월 대비 8.4% 증가했다. 건설기성(-0.1%)은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지만, 향후 건설 경기를 예고하는 건설수주 실적은 전년 대비 2.5% 늘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1 포인트 내린 98.2였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6으로 보합세였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