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김 ‘GIM’으로 표준화… 2027년까지 수출 10억불 목표

입력 2024-10-31 18:51 수정 2024-10-31 21:11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생협약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정부가 한국 김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김 영문 명칭을 ‘GIM’으로 표준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품질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마른김에 대해 ‘김 등급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김 수출액을 10억 달러(한화 약 1조3700억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이러한 내용의 ‘김 산업 경쟁력 강화와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송명달 해수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김은 ‘검은 반도체’라 불리며 수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우리 명칭인 ‘GIM’이 해외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한국 김 영문 명칭을 ‘GIM’으로 일원화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해수부는 내년 한국 김의 명칭과 수출규격 등에 대한 표준화 제안서를 만들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제출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정부는 김 상품의 국제 표준화가 이뤄지면 비관세 장벽이 완화돼 수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등급제’도 도입한다. 등급을 차별화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늘리고, 고품질의 마른김을 ‘고급화’ 상품에 활용하는 등 김 산업의 범위를 넓힌다는 취지다. 해수부는 2027년까지 김 수출액 10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올해 9월 기준 김 수출액은 7억7000만 달러로 이미 지난해 전체 7억9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김 생산량 확대를 위해 먼바다 시범양식에도 나선다. 시범 양식 후보지는 전남 완도·여수·신안으로 약 1000㏊ 규모다. 정부는 이를 포함한 신규 양식장 등 총 5070㏊에 김 1000만속(10억 장)을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육상 김 양식’ 기술을 내년부터 개발하고, 고수온에 강한 김 양식 품종도 2026년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이 밖에 정부는 김 유통과 가공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 300개에 이르는 마른김 업체를 조직화할 수 있도록 ‘마른김 수협’(가칭) 출범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내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업해 김 가공 공장의 스마트공장 전환도 지원한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