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는 디지털에 취약한 고령층과 소상공인을 위해 대면 점포를 유지하는 포용금융을 실천하겠다고 30일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가 인구 감소지역으로 선정한 기초지방자치단체 89곳에서 전체 금고(3269개)의 14.1%에 해당하는 461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경북 영천 19개, 전북 남원 14개, 경남 남해 10개, 전남 영암 10개 등이다.
지방 점포는 고령층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2021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3년간 새마을금고 직원의 도움으로 예방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총 313건에 달한다. 피해 예방액은 93억7000만원이다.
새마을금고는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도 점포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새마을금고는 작년 인출 사태 이후 경영합리화를 위해 금고 간 합병을 꾸준히 추진해왔지만 점포 수는 유지하고 있다. 금고 수는 지난해 하반기 1293개에서 지난 6월 말 1284개로 9개 줄었으나 점포 수는 같은 기간 3260개에서 3269개로 오히려 늘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상부상조·상호협동 정신에서 출발한 만큼 앞으로도 지역사회 공동체가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