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김포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실질적 복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매년 17억원의 시비를 추가 투입해 장애인 활동 지원 시간을 대폭 확대하고, 북부권 장애인 활동지원 제공기관을 신설하는 등 장애인 복지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하는 체육센터 개관을 앞두고 있으며, 평생교육 지원과 급식관리 체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시는 장애인 활동지원 시간을 월 10시간에서 20시간으로 100% 확대했다. 이는 경기도 내 인구 대비 지원 순위 1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보편적 지원 방식을 유지해 국가와 경기도, 김포시의 지원을 다양하게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24시간 지원 인원도 35명으로, 인구수 대비 경기도 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북부권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통진읍에 ‘김포다원 장애인 자립생활센터’를 추가 지정했으며, 내년 상반기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운양반다비체육센터 개관을 앞두고 있다. 이 체육센터는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인 설계와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포용과 다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김포시는 교육부 주관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1100만원을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에게 연간 35만원의 평생교육강좌 이용료를 지원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의 급식관리 체계화도 이뤄지고 있다. 김포시는 김포대 산학협력단과 위탁협약을 맺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로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소규모 급식시설까지 위생관리 및 식단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불합리하거나 부족했던 점을 개선하고 보완하면서, 실효성 있는 사업을 실시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진정성 있는 따뜻한 정책을 펼쳐 모든 시민의 신속한 삶의 질적 향상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포시는 민선 8기 출범 2주년 만에 장애인 관련 공약사항을 100% 이행 완료하는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실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포=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