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암살 가능성을 의식해 경호 수위를 높였다고 29일 밝혔다.
국정원이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가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진행한 국정감사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여야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올해 김정은의 공개 활동은 작년에 비해서 현재까지 110회, 약 60% 이상 증가한 가운데 김정은에 대한 암살 등을 의식해서 통신 재밍(Jamming, 통신 차단·왜곡 기술) 차량 운용, 드론 탐지 장비 도입 추진 등 경호 수위를 격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둘째 딸 김주애에 대해서는 최근 지위가 상승한 것으로 국정원은 판단했다. 국정원은 “김주애는 노출되는 빈도를 조절해 당 행사까지 활동 범위를 넓히는 가운데 김여정의 안내를 받거나 최선희의 보좌를 받는 등의 활동이 있었다”며 “지위가 일부 격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러시아 대사와 직접 담소를 나누는 장면, 김정은·김주애 둘이 있는 ‘투샷 사진’을 공개한다든지, 전담 경호원을 대동하는 등 확고한 입지가 감지된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동향도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한과 러시아 간의 병력 이송이 진행 중”이라며 “고위급 군 장성을 포함한 일부 인원의 전선 이동 가능성을 열어두고 확인 중”이라고 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러시아 군은 북한군에게 러시아 군사 용어 약 100개를 교육 중이다. 국정원은 “북한군이 어려워한다는 후문이 있는 상태라 소통 문제의 해결이 불투명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했다.
국정원은 “지난 23∼24일 모스크바와 평양을 왕복한 러시아 정부의 특별기에는 북한군 파병에 관여하는 러시아 안보 핵심 관계자가 탑승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파병 문제와 관련한 이견 조율 목적으로 보이며 이후 양측이 사실상 파병을 시인한 것도 방문 이후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향후 북한이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과 대형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의 발사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국정원은 “북한은 첨단 부품 구입 및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으로 지난 5월 실패한 정찰 위성을 다시 발사할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대선 이후 7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면서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