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자살 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진행되던 자살 예방 정책을 일반 시민에게까지 확대한다. 서울시민 자살률을 2030년까지 절반으로 낮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에 도달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시는 28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로움 등 여러 원인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21일 고립·은둔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대책인 ‘외로움 없는 서울’을 발표했는데, 이번 계획은 그 첫 번째 후속 정책으로 제시됐다.
고위험군에만 초점이 맞춰졌던 지금까지의 자살 예방 정책과 가장 큰 차이점은 평범한 시민들의 외로움을 줄여나가는 것에 주안점을 뒀다는 것이다. 시는 “시민들의 마음 건강을 일상에서 돌보며 자살위험을 낮춰나가는 포괄적 지원 방식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계획에는 2026년까지 916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우선 24시간 전화상담 창구와 자치구별 마음상담소를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지역사회에서 자살 위험이 있는 이웃을 찾아내 전문기관에 연결하는 ‘생명지킴이’도 양성한다. 또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민간 전문심리상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역 중심의 통합 자살 예방 시스템도 구축한다. 시는 자살률이 높은 지역은 ‘동행촌 생명 존중 마을’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곳에서는 동네 병원 의사나 상점 주인 등이 생명지킴이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이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해 시에 알리면, 시는 필요한 상담을 연계하는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시는 자살 예방정책의 컨트롤타워를 맡을 ‘서울시 자살예방위원회’도 신설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자치구마다 자살 예방 전담 조직도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2030년까지 시민 자살률을 50% 이상 줄이겠다는 정책 목표를 내놨다. 서울시민 10만명당 자살률은 지난해 기준 23.2명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27.3명보다는 낮지만 OECD 국가 평균인 10.7명의 두 배를 훌쩍 넘겼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