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수전해 부품 개발·지원 플랫폼인 그린수소 수전해센터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충남도는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일원 6608㎡의 부지에 127억원을 투입해 센터를 건립하고 운영에 돌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운영은 충남테크노파크 첨단금속소재부품센터가 맡는다.
그린수소 수전해센터는 국내 최초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관련 부품 개발·지원을 위한 플랫폼이다.
수소는 생산 방식에 따라 그레이, 블루, 그린으로 나뉘는데, 이 중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는 기업 수요를 반영해 센터에 10㎾급 수전해 스택(물을 전기분해해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장치), 부품 신뢰성 평가 장비, 다중 타깃 전자빔 진공 증착 장비, 초순수 제조·공급 장치 등 13대의 장비를 구축했다.
그린수소 수전해센터는 앞으로 각 장비를 운용하며 수전해 부품 평가, 실패 원인 분석, 기술 노하우 전수, 시제품 컨설팅 등 원스톱 연구 기반 실증 체계를 구축한다. 또 기업 업종 다각화 교육, 기업 분석, 맞춤형 컨설팅, 장비 운영 전문가 교육, 장비 적합성 교육 등도 실시한다.
도는 그린수소 수전해센터 구축으로 수소 관련 중소기업 사업 활성화, 시장 경쟁력 확보, 수소 관련 부품 국산화, 수소 소비 촉진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충남은 수소경제에 집중하고 있다”며 “2040년까지 수소 120만t 생산, 수소 발전 설비 2만㎿ 확충, 수소충전소 180개소와 수소차 5만 대 보급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 수소 생산량은 2022년 기준 39만6043t으로 전국(209만9011t)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도는 향후 서산 부생수소 출하 시설 가동, 보령 바이오가스 활용 생산 시설 구축, 재활용 플라스틱 활용 수소 생산 시설 구축 등을 통해 2030년 이후 연간 85만7808t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