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을 빼는 데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는 주사형 비만 치료제 ‘삭센다’를 비대면으로 처방받은 사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 안전 사용 서비스(DUR) 점검 건 중 비대면 진료로 삭센다를 처방한 건수는 지난달 3347건으로 지난해 12월(183건) 대비 18배 이상 증가했다.
DUR은 의사와 약사에게 의약품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의사·약사가 고객에게 특정 의약품을 처방하거나 조제하기 위해 DUR에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해당 고객이 같은 의약품을 이용한 적 있는지, 함께 쓰면 안 되는 의약품을 쓰지는 않는지 등을 안내해준다.
같은 기간 비대면 진료와 달리 DUR 점검 건 중 대면 진료로 삭센다를 처방한 건수는 1만2562건에서 1만4729건으로 1.1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 의원은 “시범 사업 형태로 운영되는 비대면 진료가 의료 접근성 해소가 아닌 ‘비필수·비급여 분야 과잉 진료’ 결과를 낳고 있다. 정부는 비대면 진료가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쓰이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월 전공의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 상황에서 원칙적으로 금지됐던 병원급 이상 의료 기관에서의 초진 환자 대상 비대면 진료를 허용한 바 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