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3D 프린팅 건설기술 관련 우리나라의 특허출원 증가율이 세계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2012~2021년 세계 5대 특허청인 ‘IP5’에 출원된 3D 프린팅 건설관련 특허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 45.3%가 성장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중 우리나라는 2017~2021년 출원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2012년 출원된 3D 프린팅 건설기술은 8건에 불과했지만 연평균 45.3%씩 증가해 2021년에는 231건이었다.
가장 많이 출원한 국가는 533건(38.6%)을 기록한 중국이었으며, 미국이 276건(20%)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은 167건(12.1%)으로 3위를 차지했지만 최근 5년간 연 평균 13%의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출원인별로는 기업이 68.5%로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미국(83.3%)과 독일(97%), 프랑스(96.4%)는 기업의 출원비율이 매우 높았다.
우리나라는 기업(34.7%)과 대학(30.5%), 개인(17.4%), 공공(17.4%) 등 다양한 출원인에 의해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주요 다출원인은 1위 씨카(50건, 스위스), 2위 GE(49건, 미국), 3위 중국건설(42건, 중국) 등 건설 관련 기업들이 차지했다.
한국 출원인은 19위 건설기술연구원(13건), 21위 연세대(10건), 42위 세종대(6건), 50위하이시스 및 디원테크(5건) 등이었다.
한지혜 특허청 스마트제조심사팀장은 “3D 프린팅 건설은 건축폐기물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건설방식이자 달·해저 등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구조물을 지을 수 있는 미래 첨단기술”이라며 “고품질 심사와 함께 특허통계 제공 등 산업계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