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요금을 무기한 동결하기로 했다. 시는 따릉이의 적자 폭이 버스·지하철 등 다른 주요 교통수단에 비해 크지 않을뿐더러, 탄소 배출을 낮추고 시민 건강에 기여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고 봤다. 따릉이 요금은 2010년부터 15년째 시간당 1000원으로 책정돼 있으며, 따릉이는 매년 약 100억원 가량의 적자를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27일 “당분간 따릉이 요금 인상은 없다”며 “대중교통 요금 인상, 그 한참 뒤의 문제”라고 말했다. 시는 ‘공공자전거 요금체계 개편 학술용역’ 수의계약을 맺은 한양대 산학 협력단으로부터 최근 중간보고를 받고 당장 요금을 인상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 학술용역은 물가 상승률에 연동한 적정 수준의 따릉이 요금을 측정하기 위해 지난 4월 시작됐으며 다음 달 종료된다.
시와 한양대 산학 협력단은 현시점에서 요금 인상은 적절치 않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시는 버스와 지하철의 요금도 올려 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따릉이 요금까지 인상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따릉이는 수익사업이 아니라 교통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학술용역을 총괄하는 고준호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는 “따릉이 적자가 늘고 있긴 하지만 지하철이나 버스에 비하면 절대적인 적자액이 크다고 볼 수 없다”며 “요금 인상은 어렵다”고 말했다. 따릉이 적자 규모는 2020년 99억원, 2021년 103억원, 2022년 94억원. 2023년 109억원으로 집계됐다.
또 한양대 산학 협력단은 서울시설공단의 협력을 받아 따릉이 회원 1만887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요금이 인상될 시 ‘따릉이를 타지 않겠다’ 혹은 ‘다른 교통수단으로 전환하겠다’고 답한 비율이 약 40%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요금 인상 대신 별도 요금 체계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적자 개선 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따릉이 요금 체계는 시범 운영 사업을 시작한 2010년부터 일일권 1시간(1000원)·2시간(2000원), 정기권 7일(3000원)·30일(5000원)·180일(1만5000원)·365일(3만원)으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 장시간 이용자들을 위한 일일권 4시간, 주말권을 추가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시는 따릉이 일일권 사용자를 상대로 반납 후 재대여시 추가금을 받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지금까지는 일일권을 결제하면 24시간 동안 기본 대여시간 내 정상 반납 시 추가금 없이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다시 대여할 수 있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