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성평등 정책 국회 포럼’ 도중 중단...도민들 성주류화 정책에 반대

입력 2024-10-24 10:00 수정 2024-10-24 10:03
70여 명의 제주도민이 23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주도 성평등 정책 국회 포럼'에서 제주평화인권헌장의 제정을 반대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 중인 ‘제주평화인권헌장’에 포괄적 차별금지법(차금법)의 독소조항이 포함됐다는 논란이 일며 도민들과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제주도는 23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위성곤·김한규·문대림 의원이 공동 주최한 ‘제주도 성평등 정책 국회 포럼’을 개최했으나 도민들의 반발로 중단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지자체 특성을 반영한 성주류화 추진체계와 모범 사례 확산의 필요성을 주제로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눴다. 김원정 성별영향평가센터장은 주제발표에서 “성평등 관점이 정책과 기관에 통합돼야 한다”며 기관 차원의 성주류화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나 발표 이후 포럼은 도민들의 항의로 중단됐다.

현장에는 70여 명의 제주 도민들이 참석해 제주평화인권헌장의 ‘성적 지향 및 성별 정체성’을 차별금지 사유로 규정한 것에 대해 반대의견을 제시했다. 이들은 제주 도지사와의 면담을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성사되지 않아 서울까지 방문하게 됐다고 밝혔다. 도민들은 헌장 제정 과정에서 충분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제정안 폐지를 요구했다. 또한, 제정위원회 회의록의 공개와 민주적 절차에 따른 제정위원 선정과 도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새로운 헌장을 촉구했다.

한편, 도민들은 제주 도청 앞에서도 헌장 폐지를 촉구하는 집회를 지속하고 있으며 탈북민 송예원 씨는 단식 농성을 통해 항의의 뜻을 이어가고 있다.

김수연 기자 pro11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