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이 임박한 가운데 그동안 민주당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성혁명 이슈에 대한 반작용이 대선 향방을 좌우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23일 외신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은 그동안 성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정책을 펴왔다. 지난 클린턴 정부 때부터 현재 바이든 정부에 이르기까지 해당 정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특히 바이든 정부 내에선 성소수자 장관이 임명되기도 했다. 그 결과 미국 내에서 성소수자들의 권익은 이전보다 크게 향상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성소수자들은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공개적인 장소에서 세를 과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뉴욕프라이드 행진에는 약 2만 5000명의 성소수자가 참가했다. 시카고나 샌프란시스코 등에서도 성소수자들이 공개적으로 퍼레이드를 펼쳤다. 아울러 성소수자 단체들은 민주당에 막대한 후원금을 제공하며 정치적 뒷받침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대선을 앞두고 미국 내에선 성혁명 물결에 대한 피로감, 반작용이 표출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학부모 및 기독교 관련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민주당 정책과 성혁명 움직임에 반대하는 운동이 확산되는 중이다. 워싱턴 등 여러 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반 성혁명 시위도 열렸다. 미국에서 활동 중인 김성모 선교사는 “중요한 것은 여기에 뜻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비단 정통 보수세력만이 아닌 과거 민주당을 지지했다가 돌아선 이들도 많다는 것”이라며 “대표적으로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도 있다.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반감이 커져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의 지지세는 자연스레 공화당 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로 향하고 있다. 이에 최근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또 하나의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그동안 트럼프는 동성애 등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반 성혁명 움직임은 정파적 입장을 떠나 미국의 근본 가치에 집중한 사례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용희 교수는 “미국이라는 국가가 청교도 정신을 기반으로 세워진 국가인 만큼 사회 곳곳에서 이러한 가치를 수호하려는 움직임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면서 “몇 년 간 이어진 성혁명 물결에 위기감을 느끼고 국가의 근본 가치와 가정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대선으로 말미암아 가시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최경식 기자 k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