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는 국내 최고 연구기관인 서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함께 로보틱스 공동연구실을 설립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실 설립은 미래 로보틱스 시장의 핵심으로 꼽히는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학연 로봇 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한 것이다.
현대차그룹과 3개 연구기관은 산학협력 전문기관인 현대엔지비와 향후 3년 동안 로보틱스 공동연구실을 운영하기로 했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연구실 내에서 로봇 하드웨어 분야를 맡게 된다. 서울대는 유리 등 투명 물체를 조작하기 위한 로봇의 인식 기술을 확보하고, 등록되지 않은 물체도 잡을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고도화한다.
포스텍은 사람이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할 때 필요한 원격 햅틱 장비 등에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KIST는 다양한 사물 조작 인식 기술을 확보하고, 로봇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움직임 제어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미래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이동형 양팔로봇’ 기술이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국내 최고 로봇 연구기관들이 협력하는 만큼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을 창출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