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동두천시 성병관리소 철거를 촉구하는 시민들이 시민공동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대규모 집회를 진행했다.
‘성병관리소 철거 추진 시민공동대책위원회’(시민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21일 발족 후 동두천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두천의 불명예스러운 과거를 상징하는 성병관리소를 미래 세대에 물려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성단체협의회 등 40개 단체가 참여한 시민공동대책위원회는 성병관리소의 문화유산 임시지정 계획 철회와 즉각적인 철거를 요구했다.
윤한옥 공동위원장은 “더 이상 시민들이 과거의 상처에 얽매일 수 없다”며 “성병관리소 철거는 동두천이 자랑스러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성병관리소 철거를 저지하려는 반대 단체에는 시민이 원하지 않는 철거 방해 행위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성병관리소는 1970년대부터 운영된 격리 치료시설로, 최근의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감염병 격리시설과 유사한 공중보건 목적의 시설이라고 시민공동대책위원회는 설명했다.
시민공동대책위원회는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없으며, 즉각 철거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성병관리소는 일시적인 공중보건 조치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족을 시작으로 시민공동대책위원회는 22일 소요산 주차장 일대에서 성병관리소 철거 촉구를 위한 대규모 집회를 개최했다.
시민공동대책위원회가 주최한 이날 집회에는 비가 오는 악천후에도 약 500명의 시민이 운집해 성병관리소 철거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공동대책위원회와 동두천시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성병관리소 철거가 과거 기지촌 이미지 개선과 시민들의 자부심 회복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외부 시민단체의 역사 왜곡과 거짓 발언에 대한 강하게 반발했다.
김용일 공동위원장은 “성병관리소는 동두천시민에게 오랜 아픈 기억으로 남아 있으며, 더 이상 우리 지역 사회에 있어서는 안 될 존재”라며 “외부 단체들이 동두천의 역사와 사회적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왜곡된 사실로 보존을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기억되고 보존해야 할 것은 시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며, 대다수 시민이 반대하는 사안을 외부 단체가 강행하려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현재 동두천시의회는 성병관리소 철거 비용으로 2억2000만원의 예산을 최종 의결한 상태지만, 철거를 반대하는 시민단체의 천막농성이 50일 넘게 이어지는 등 철거 집행은 두 차례 무산된 바 있다.
동두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