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북 요원을 러시아-우크라이나전에 파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이 러시아 측에서 러-우전에 참전하기 위해 자국 병력을 보낸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러-우전에 한국 정보 공유 대표단을 보낼 수 있냐는 취재진 질문을 받고 “어제(21일) 대통령실에서 정보 공유 대표단과 관련된 언급을 했다. 그것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파견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고 국방부가 어떤 역할을 할지는 구체화하면 말씀드리겠다”라고 답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1일 마크 루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 통화에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정보 공유를 위한 대표단을 신속히 파견하고 한-우크라이나-나토 간 안보 협력 활성화를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 한국과 나토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북한이 자국 병력을 파병하면서 러시아로부터 무엇을 받을 수 있냐는 질문에 전 대변인은 “여러 금전적인 것 또는 첨단 기술을 러시아로부터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방독면과 전투 식량 등 군수 물자를 계속 지원할 수 있다면서 “북한과 러시아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양국 군사 협력 진전 추이에 따라 가용 조치들을 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