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I서울보증 상근감사로 선임돼 ‘낙하산 논란’에 휩싸였던 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이 업무추진비를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감사로 재직하던 두 달 동안 휴일에 모두 6차례 업무추진비를 썼고, 특히 지난 8월 광복절 연휴를 끼고는 강원도 강릉과 서울의 특급호텔에서 수십만원 규모의 지출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보증으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김 전 행정관은 감사로 재직하던 지난 8월 5일부터 10월 7일 사이 총 57차례에 걸쳐 736만원의 업무추진비를 썼다. 서울보증 감사는 업무추진비 명목으로 매달 470만원의 법인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기본급은 1억6000만원으로 50∼125% 수준의 성과급도 받을 수 있고, 기사와 차량이 별도 제공된다.
사용 내역은 다수가 식당에 집중됐는데 휴일(주말·공휴일·휴가일)에 6차례, 총 76만원이 쓰였다. 특히 근무일이던 8월 14일 오후 7시 무렵 고향인 강릉 경포대의 한 5성급 호텔에서 40만원이 쓰였고, 광복절이던 다음 날에는 인근 식당에서 점심값이 결제됐다. 휴가였던 16일에는 서울 강남의 4성급 호텔에서 20만원 이상이 사용됐다. 광복절 연휴 기간을 끼고 집중적으로 업무추진비가 사용된 것이다.
김 전 행정관은 재직하는 동안 이틀만 휴가를 썼다. 이 두 날을 제외하곤 정상 출근했다는 게 서울보증의 설명이다. 서울보증 관계자는 “내부 기준은 있지만, 주말 등 휴일에 업무추진비를 사용한 것이 적절한지 아닌지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보증은 업무추진비 사용 내부 지침과 관련된 조 의원의 자료제출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다.
서울보증은 예금보험공사가 93%의 지분을 가진 정부 투자 민간회사이지만, 그간 서울보증에 10조원대 공적자금이 투입됐고 6조원가량을 더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야당은 서울보증에 10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돼 공공성을 띤 만큼 김 전 행정관의 업무추진비 사용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조승래 의원은 “도덕적 해이를 감시해야 할 감사라는 사람이 도리어 업무추진비로 호캉스를 다니고 소위 ‘플렉스’를 즐긴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무자격, 무대책인 인사를 꽂은 ‘뒷배’가 도대체 누구인지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