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파병된 북한 군인들에게 군복, 군화 등을 보급하기 위해 한글 설문지까지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CNN은 우크라이나 문화부 소속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를 통해 한글 설문지를 입수했다고 19일(현지시간) 전했다. 설문지에는 한글로 “모자 크기(둘레), 체복/군복 치수와 구두 문서를 작성해주세요”라고 적혀 있다. 북한 군인은 러시아에 도착한 후 이 설문지를 채워 제출해야 한다고 CNN은 보도했다.
설문지에는 러시아식 군복·모자 크기를 ㎝ 단위로 설명한 내용이 표로 담겼다. 옆에는 이 크기에 맞는 ‘조선씩 크기’를 표기할 수 있도록 빈칸이 있다. 러시아와 북한의 의복 치수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각 군인이 자신의 신장이나 북한식 치수를 기입해 제출하면 이에 맞춰 군복을 지급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글 설문지 외에도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뒷받침할 근거들은 계속해서 포착되고 있다. 앞서 SPRAVDI는 연해주 세르기예프스키 훈련소로 추정되는 장소에서 우크라이나 배치에 대비하는 북한 군인의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이날 공개된 한글 설문지와 함께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보인다.
이 영상에는 북한군으로 보이는 동양인 군인들이 러시아군으로 추정되는 군인으로부터 장비를 배급받는 모습이 담겼다. 북한 억양으로 “넘어가지 말거라” “나오라 야” 등의 음성도 영상에서 확인된다.
텔레그램 채널 ‘파라팩스’는 파병된 북한 군인이 러시아에서 훈련 중인 모습이라며 병사들이 줄지어 군사기지에 들어가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은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이날 주요 7개국(G7) 국방장관 회의가 열린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우크라이나 파병을 위해 러시아에 군을 보냈다는 보도를 확인할 수 없지만 사실이라면 우려된다고 말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