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축구장 56개 규모 ‘인공어초 어장’ 조성 추진

입력 2024-10-17 13:15
인공어초.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풍요로운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시비 16억4000만원을 들여 옹진군 대청·소청, 덕적, 자월 연안해역 40㏊(축구장 56개 면적)에 인공어초 474개를 설치한다고 17일 밝혔다.

인공어초는 해양생물의 산란·서식장 조성을 위해 콘크리트 등으로 만든 인공 구조물이다. 이른바 물고기 아파트라고 불린다. 인공어초는 바닷속에 들어가면 표면에 해조류 등이 붙으면서 해양생물의 거주지로 탈바꿈한다. 시는 지난 1973년부터 인공어초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까지 1만2333 규모(여의도 면적 약 42배)의 인공어초 어장을 조성했다.

시는 대청·소청, 덕적, 자월 연안해역에 인공어초 설치가 마무리되면 한국수산자원공단과 협약을 통해 어초어장관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어초어장 기능성 분석, 인공어초 설치상태 조사, 인공어초 내 폐기물 처리 등 인공어초 기능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를 이어간다. 지난해 이뤄진 어초어장 기능성 분석에서는 인공어초를 설치한 해역의 어획 효과가 설치하지 않은 해역보다 3.18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또 사전·사후 영향조사를 추진해 대상 해역 현황, 수산 자원량 및 해양환경 변화 등을 조사하고 인공어초 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수산자원 조성 효과 등을 확인해 향후 추진 방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오국현 시 수산과장은 “인공어초 사업은 기후변화, 해양개발 등으로 부족해진 양질의 보금자리를 해양생물에게 제공해 수산자원 증가 및 어업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해역별 적지조사 등을 거쳐 인공어초를 설치해 수산자원이 풍요로운 인천 앞바다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