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교 도서관의 장서 수가 늘어나는 등 독서 환경은 좋아졌지만, 학생들의 독서량은 여전히 감소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 도서관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39.9권으로, 2014년(25.7권)보다 55.3%나 늘었다. 같은 기간 학생 1인당 학교 도서관 자료 구매비는 2만657원에서 3만4407원으로 66.7% 증가했다.
학교 도서관 시설이 좋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초·중·고교생 한 명이 지난해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본 책은 평균 17.2권으로 10년 전(2014년) 21.9권보다 21.5% 줄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년 국민독서실태조사’를 보면 학생들의 연간 도서량도 지난해 34권으로, 2013년(39.5권)보다 13.9% 줄었다. 독서 환경 개선 흐름과는 대조되는 상황인 것이다.
SNS 사용 증가와 디지털 매체로 편리하게 정보를 습득하면서 독서 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점이 학생 독서량 감소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학생들의 독서량 감소는 문해력 저하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매년 교육부가 중3, 고2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고2 국어 과목에서 ‘보통 학력 이상’을 획득한 학생은 불과 지난해 52.1%로 나타났다. 2019년 77.5%에서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중3도 같은 기간 82.9%에서 61.2%로 뚝 떨어졌다.
교사 대상 실태조사 결과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왜 욕을 하는가’라고 따지거나,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로 알고 있었다’ ‘왕복 3회라고 했는데 왕복을 이해하지 못했다’ 등의 사례가 수두룩하게 나왔다.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으로 독서 관심이 커질 발판이 생긴 만큼 교육 기관 차원에서 학생 독서 교육을 강화해 문해력을 높일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지난 3월 교육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적용되는 ‘학교 도서관 진흥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계획 동안 학생 독서량 증진을 위해 사서 교사 정원을 지속 확대하고 공공도서관과 협력한 양질의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이번 노벨상 수상이 학생들의 독서 활성화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