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병장수 비결도 ‘돈’?… 고소득층, 8년 더 건강히 살아

입력 2024-10-15 18:17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수명이 더욱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으로, 신체적·정신적 질환이나 이상 없이 생활하는 기간을 말한다.

15일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2011년 71.8세에서 2021년 73.4세로 1.6세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는 64.7세에서 65.2세로 0.5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수명이 8.2세 차이가 나는 것으로 10년 전 7.1세보다 더 벌어진 것이다.

우리나라 주요 사망 원인 1위인 암의 발생률에서도 소득에 따른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과 2022년의 남녀 암 발생률(인구 10만명당 암 발병 인원)을 비교했을 때, 남성의 경우 소득 상위 20%과 하위 20%간 격차가 78.3명에서 79명으로 더 커졌다. 여성의 소득 수준에 따른 암발생률 격차는 같은 기간 97.3명에서 117.4명으로 격차가 20.1명이나 커졌다.

김 의원은 “기대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소득에 따른 건강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며 “소득, 지역 등을 이유로 국민들의 건강이 불평등해지는 것은 옳지 못하다. 지역별 균등한 의료시스템 편성과 더 보편적인 복지 시스템의 구축을 지향해야 한다”고 했다.

박주원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