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긴 무더위의 영향으로 원예농산물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부진해 지난해보다 높은 가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김장철을 앞둔 배추와 무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1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배추 상품 평균 도매가격은 한 포기에 8920원으로 작년보다 128% 비싸다. 무 가격은 한 개에 2391원으로 지난해보다 105% 높은 수준이다.
지난 8∼9월 이례적으로 오래동안 이어진 고온과 집중호우로 생육이 부진해 공급량이 감소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 강원 준고랭지 지역에서 배추가 주로 출하되고 있으나, 지난 8월 초부터 추석 이후까지 이상고온이 이어져 예상보다 부진한 생육이 이어지고 있다.
무의 경우 여름철 무 재배 면적이 줄고 작황이 부진했다. 여기에 배추 대체 수요까지 더해져 가격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시금치, 깻잎, 오이, 애호박도 작년 대비 20∼50% 가격이 올랐다.
다만 양파와 대파, 양배추는 각각 지난해보다 11%, 28%, 3% 정도 가격이 낮아졌다.
정부는 김장철을 대비해 중국산 배추 수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박순연 농림수산식품부(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산 수입 배추 48t을 들여와 김치 가공업체 및 식자재 마트에 판매를 완료했으며 오는 17일 평택항으로 추가 물량 54t이 들어올 예정이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피해 농작물의 생육이 회복하는 이달 하순이나 다음달부터 채솟값이 내림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맞춰 이달 중순까지 출하 장려금을 지원해 배추 시장 공급량을 늘리고, 주요 재배지에 영양제 살포를 계획하는 등 출하 물량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김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