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시·도지사가 청주국제공항의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을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이장우 대전시장, 김하균 세종시행정부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는 14일 세종지방자치회관에서 열린 제33회 충청권행정협의회에서 청주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서에 서명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을 대신해 행정부시장이 참석했다.
충청권 4개 시·도는 공동성명서를 통해 “청주공항의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신설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하고 중대한 문제”이라며 “국토교통부의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반영하고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청주공항은 560만 충청권 주민과 900만 수도권 남부 주민의 하늘 길을 열어주는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 있다”며 “국제노선이 다양해지고 이용객이 급증하고 있으나 민군 복합공항이라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민간 항공기 운항에 극심한 제약을 받는 절체절명의 상황에 놓여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현재 청주공항에는 두 개의 활주로가 있지만 민간 항공기가 사용 할 수 있는 활주로는 군과 함께 사용하는 한 개 뿐”이라며 “이마저도 군사 작전과 훈련 등으로 온전히 사용하지 못해 0.5개의 활주로에 7~8회에 불과한 슬롯을 활용하여 근근이 버텨가는 형편”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청주공항의 활주로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신설”이라며 “충청권 4개 시도는 560만 충청인의 염원을 모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전했다.
충북도는 청주공항의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청주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을 위한 특별법(청주공항 특별법)을 연내에 발의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정부가 수립 중인 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년)과 청주공항 특별법 제정을 연계하면 사업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활주로는 길이 3200m, 폭 60m를 구상하고 있다. 청주공항 인근 198만㎡ 부지에 활주로와 터미널·유도로·계류장 등 부대시설까지 포함해 3조원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도는 청주공항이 경기 남부·충청권의 여객·물류를 처리하고 미주·유럽 직항노선 취항과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민간 전용 활주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청주공항 국제선 이용객은 지난 9월 100만명을 돌파했다. 올해 전국 14개 지방공항 중 국제선 이용객이 100만명을 넘긴 곳은 청주공항과 김포·김해·제주공항 등 4곳 뿐이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