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시장·기업 중심으로 ‘물품목록제도’ 혁신 나선다

입력 2024-10-14 14:25

조달청이 민간시장의 기술 변화를 반영하고 혁신기업의 조달시장 진입을 높이기 위해 ‘물품목록제도’ 전 분야를 혁신한다고 14일 밝혔다. 2003년 국제표준인 ‘유엔표준제품 및 서비스 분류체계(UNSPSC)’를 정부물품 분류체계로 도입한 지 21년 만이다.

물품목록제도는 정부가 구매·관리하는 물품과 서비스에 표준품명(물품분류)을 부여하고 주민등록번호처럼 관리하는 정책이다. 공공조달에 진입하기 위한 첫 단계다.

조달청은 물품목록제도 혁신을 위해 신수요·신기술 품명 신설 활성화, 물품목록화 절차 개선, 물품목록 분류체계 정비, 지원 인프라 강화 등 4대 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공공서비스 개선 관련 품명의 신설 소요일수를 24일에서 17일로 대폭 단축하기로 했다. 시장의 기술 동향을 신속히 반영하기 위해 휴머노이드로봇·스마트조명 등 신기술 품명은 기업이 신청하기에 앞서 선제적으로 발굴한다.

물품목록 등록절차도 개선한다. 규격화된 물품은 목록번호를 자동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하고, 혁신제품 등 접수·심사기한이 있을 경우에는 우선 처리하도록 한다. 제품특성 정보는 기업이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목록화를 할 때 다른 제품을 참고할 수 있도록 검색기능도 강화한다.

특히 물품분류체계는 최신 UNSPSC 국제기준과 일치시키고, 국민먹거리·교통표지·소방용방화복 등 공공안전 관련 품명은 물품 특성에 맞게 신설·통합한다.

이밖에 목록업무 지원 인프라도 강화될 전망이다. 현장의 목소리를 법령·지침에 반영하는 ‘물품목록정보 전문관’을 신설해 전문성을 확보한다.

각 과제가 시행되면 새로운 기술품명을 보다 신속하게 신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품의 특성 정보를 쉽게 등록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공공조달의 첫 관문인 물품목록제도를 혁신해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기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겠다”며 “중소·벤처·혁신기업이 조달시장에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물품분류를 다양화하고 등록절차는 간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