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너구리 등 야생동물을 통한 광견병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광견병 미끼 예방약’을 살포하며 시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서울시는 오는 28일까지 시 경계지점의 주요 산과 하천 주변에 광견병 미끼 예방약 3만 7000개를 살포한다고 14일 밝혔다.
광견병 미끼 예방약은 어묵 반죽 안에 예방 백신을 넣어 약 2~3㎝ 크기 사각형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야생동물이 먹고 면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서울시는 시 경계를 따라 50~100m 간격으로 지점당 15~20개씩 총 157㎞에 걸쳐 미끼 예방약을 살포할 예정이다.
주요 살포지점은 북한산‧도봉산‧수락산‧관악산‧우면산 및 양재천‧탄천‧우이천 등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이외에도 너구리가 자주 출몰해 민원이 많은 일부 공원에도 살포한다.
서울시는 2006년부터 매년 봄과 가을에 미끼 예방약을 살포하고 있다.
덕분에 살포 이후 현재까지 서울에서 야생동물로 인한 광견병 발생 사례는 없다.
서울시는 시 경계를 따라 50~100m 간격으로 지점당 15~20개씩 총 157㎞에 걸쳐 미끼 예방약을 살포한다.
주요 살포지점은 북한산‧도봉산‧수락산‧관악산‧우면산 및 양재천‧탄천‧우이천 등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이외에도 너구리가 자주 출몰해 민원이 많은 일부 공원에도 살포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산행 중 살포된 야생동물 광견병 미끼 예방약을 발견하면 만지지 말아달라”며 “사람이 만지면 체취가 묻어 야생동물이 먹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끼 예방약 살포 지점에는 현수막과 경고문을 부착해 시민이 약을 만지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미끼 예방약은 개와 고양이 등 50종 이상 동물에게 안전성이 입증된 것으로 반려동물이 먹어도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반려동물이 정확한 광견병 예방 효과를 얻으려면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용 광견병 예방백신’을 접종받아야 한다.
박상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