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안 일부 조항에 대한 이견으로 멈춰있던 대구경북행정통합이 정부 중재로 다시 물꼬를 틀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중재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경북행정통합을 위해 행정안전부가 제시한 중재안을 대구시가 수용에 무게를 두고 검토 중이다. 행안부의 중재안에는 ‘시·군·자치구는 통합 후에도 종전 사무를 지속한다’ ‘통합 후 청사 활용법과 관련해 별도 범위를 설정하지 않는다’ 등 그동안 갈등을 빚었던 내용에 대한 중재 조항들이 담겼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최근 행안부로부터 이런 중재안을 전달받고 내부 논의를 거쳤다. 경북도가 중재안을 수용하면 조만간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안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참여하는 서명식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철우 지사는 최근 행정통합과 중재안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그는 “대승적으로 깊이 검토하고 대구시와의 적극적인 공동 추진을 기대한다”며 “대구·경북 통합의 역사적 여정은 중단 없이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과 의회,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해 수용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경북지역에서 관심이 많은 북부권 발전대책과 낙후지역 균형발전 전략 등에 대해서는 보완과 조정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 지사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통합 갈등 당시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 등에 적극적인 역할과 중재를 요청한 바 있다.
대구경북행정통합은 지난 5월 홍 시장과 이 지사가 논의를 공식화했지만 일부 내용에 의견을 달리해 갈등을 빚었고 논의 3개월여 만에 사실상 중단됐었다.
당시 대구시는 행정통합 시 넓은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대구와 안동, 포항에 3개 청사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고 경북도는 동부청사(포항) 없이 대구와 안동 2개 청사면 충분하다는 입장이었다. 또 경북도는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통합청사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대구시는 공론화위원회가 불필요하다며 맞섰다.
주민투표 문제에 대해서도 경북도는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의사를 묻기 위해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대구시는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당초 합의대로 시·도의회 의결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그동안 첨예하게 대립하던 문제들에 대해 서로 양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 중재안을 계기로 대구경북행정통합이 다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을 얻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