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아버지인 한승원(85) 작가는 딸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에 “세상이 꼭 발칵 뒤집어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며 기뻐했다.
한승원 작가는 11일 방송된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소식을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며 “당황했다”고 당시를 전했다.
그는 “(한림원 측이) 뜻밖의 인물을 찾아내서 수상한 그런 경우들이 많이 있었다”며 “뜻밖에 우리 강이가 탈지도 몰라 만에 하나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어도 전혀 기대는 안 했다”고 말했다.
한승원 작가는 “강이가 스웨덴으로부터 오후 7시50분에 전화를 받았는데 15분 뒤에 기사를 내보냈다고 한다. 엄마, 아빠한테도 말할 기회가 없었던 것 같다”며 “본인도 실감이 안 나는 느낌이었고 세상이 꼭 발칵 뒤집어진 듯 했다”고 했다.
딸의 문학세계에 대해서는 “한국어로선 비극이지만 그 비극은 어디다 내놔도 비극은 비극인데 그 비극을 정서적으로 서정적으로 아주 그윽하고 아름답고 슬프게 표현한 것”이라고 평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선정 이유를 두고는 “‘채식주의자’에서부터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작가라고 아마 이야기된 것 같다. 그리고 그다음에 ‘소년이 온다’가 나왔고 그다음에 ‘작별하지 않는다’(가 나왔다)”며 “광주하고 4.3사태가 연결이 되면서 국가라고 하는 폭력, 세상으로부터 트라우마를 느끼는 그런 것들에, 여린 인간들에 대한 어떤 사랑 같은 거, 그런 것들이 좀 끈끈하게 묻어나지 않았나. 그것을 심사위원들이 포착한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강이 소설은 하나도 버릴 게 없다. 하나하나가 다 명작들이다. 이게 고슴도치는 내 새끼가 예쁘다고 그래서 그런 것만은 아닐 것”이라며 자랑스러워했다.
한승원 작가는 전남 장흥군에 ‘해산토굴’이라는 이름의 집필실을 지어 기거하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1939년 장흥 태생인 한승원은 1968년 등단해 장편소설 ‘아제아제 바라아제’ ‘초의’ ‘달개비꽃 엄마’ 시집 ‘열애일기’ ‘달 긷는 집’ 등을 펴냈다.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김동리문학상 등을 받았으며, 올해 초에는 자전적 이야기의 장편소설 ‘사람의 길’(문학동네)를 펴내는 등 왕성히 집필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