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15일부터 ‘인천형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인천형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유정복 인천시장의 대표 공약 중 하나로 노선 운영 경비에서 운송수익금을 제외한 손실액을 지원하는 제도다. 시는 코로나19 이후 수익 적자에 따른 버스 운송업계의 노선 폐지, 감차·감회 등으로 발생한 시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한다.
시행 대상은 10개 운수업체의 노선 28개, 차량 201대다. 시는 노사정 간 합의를 통해 상생형 모델을 구축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한다. 운수업체는 사모펀드 매각 금지, 인건비 부담 해소, 광역급행(M버스) 노선의 국가사무 전환 등 정책 변화에 협력한다. 노조는 파업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최소 운행 비율을 유지하고 운수종사자 구인이 끝날 때까지 탄력근로제를 도입하기로 동의했다. 이를 통해 광역버스 이용 수요에 맞춘 노선 관리, 신속한 증차·증회 등 시민 교통편의를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시행에 따른 주요 개선 사항에는 배차간격 단축이 있다. 이를 위해 광역버스 운행률을 현행 59.9%에서 70%까지 올린다. 대표 출퇴근 노선인 M6405, 9100번 등의 배차간격은 10분 이내로 조정된다. 시는 최종적으로 광역버스 운행률을 90%까지 올려 검단신도시, 송도국제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 지역의 교통 수요에도 대응할 방침이다.
광역버스 이용 인프라도 개선된다. 우선 내년까지 차량 도착 시간에 따른 잔여 좌석 알림 서비스를 도입해 정거장에서 좌석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한다. 또 노후된 광역버스 정류장 시설을 정비하고 노선도 확인 및 버스정보 알림 기능을 강화한다.
합리적인 재정지원 방안도 마련됐다. 시는 노선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 대수 조정, 재정 소요 요인 관리 등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M버스는 국가 관리 체계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해 국비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한다.
시는 시행에 앞서 이날 인천시청에서 노사정이 참여하는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 협약식은 시민 편의성 증대를 위한 노사정의 협력 의지를 다지는 자리로 진행됐다.
유 시장은 “인천형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으로 시민들의 교통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준공영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통해 시민 여러분께 더 나은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사정이 함께 힘을 모아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