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제련소의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했던 한 노동자가 국회에 출석해 피해 상황을 증언했다. 반면 여야 합의로 채택된 사측 증인은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출석하지 않았다.
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참고인으로 출석한 진현철씨가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근무하던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석포제련소 하청업체 소속으로 6년 9개월간 근무했던 진씨는 현재 백혈병을 얻어 투병 중이다.
비소 중독으로 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석포제련소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회사 대표 및 관계자들이 구속 기소된 바 있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석포제련소는 지난 10여년간 환경 법렬을 70여 차례 위반했고, 폐수 무단 방출로 조업 정지를 당하기도 했다.
이날 김태선 민주당 의원의 요청으로 출석한 진씨는 “죽음 직전까지 갔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지금 이 자리에 참석하게 됐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액체를 짜서 물이 빠지고 남은 액체를 분해하는 작업을 했는데 바깥에 나가지 말고 그냥 대기실에 있으라고 연락이 온다”며 “냄새가 너무 심해 마스크를 써봤자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250m 정도 김이 날아가 나무가 다 죽어 너무 황폐해져 산사태가 나는 지경”이라며 “우리는 250m 지점이 아니라 직접 그 냄새를 마셔가며 일을 해 급성백혈골수암이라는 병에 걸려 지금도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9월까지 하기로 돼 있던 통합환경허가 조건은 서류상 이행하는 것으로 보고를 받았다”며 “이번에 새 카드뮴 사고가 났는데 즉시 조치하고 조사해서 다른 조치를 할 수 있는 것을 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여야 합의로 장형진 영풍 고문을 증인으로 채택했으나 장 증인은 일본 출국과 고령, 건강 문제 등을 사유로 불출석했다.
이에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장 고문이 건강이 좋지 못하다면서 해외 출장을 사유로 불출석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도 “일본에서 귀국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2시간밖에 안 되는 데 불출석하겠다는 건 그냥 오기 싫다는 소리”라고 비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