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 도입 앞두고 기기 관리·충전 우려↑

입력 2024-10-08 16:08 수정 2024-10-08 16:09
지난달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관람객들이 AI 디지털교과서 프로토타입 체험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을 앞두고 노트북, 태블릿PC 등 디바이스 관리가 미흡한 데다 충전 인프라도 부족하단 지적이 나온다.

AI 디지털교과서는 내년 3월 초3~4, 중1, 고1 학생을 대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디바이스 파손, 고장, 분실 건수 및 금액’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적으로 학교에 보급된 디바이스의 파손·고장·분실 건수는 약 16만6000건이었다.

파손·고장 중 유상 수리에 해당하는 건은 약 4만5000건이었고 수리비는 약 71억원인 것이었다.

디지털교과서 도입 대상 학급을 조사한 결과 디바이스 충전함 보급률은 72.3%에 그쳤다. 전국 10개 학급 중 3개 학급에는 충전함이 없다는 것이다. 심지어 서울은 보급률이 5.9%밖에 되지 않는다.

인천의 경우 초3~4 학급에 충전함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고 교실 내 멀티탭 등을 활용해 자가 충전을 하고 있다.

경남 중1, 고1 학급도 현재 교실별 충전함이 아예 갖춰지지 않았다. 내년 3월부터 설치를 시작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내년 3월까지 ‘1학급당 1충전함’ 보급 목표를 밝혔지만, 충전보관함 1대당 가격은 150만원 수준으로 현재 부족한 물량을 다 갖추려면 320억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은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교육 현장의 여러 우려가 있는 가운데 현재 보급된 디바이스의 관리가 미흡한 것은 물론 충전 인프라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실정”이라며 “인프라 뒷받침 없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공염불에 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가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