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한 의대생들이 8개월째 학교를 떠나 있으면서 군 입대를 위한 휴학을 선택한 의대생이 1000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군의관을 포기하고 현역병 입대를 택한 의대생은 지난해에 비해 6.5배 증가했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전국 국·사립 의대 군 휴학 허가 인원’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전국 37개 의대에서 1059명이 군 휴학 허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40개 의대 가운데 3개 대학은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제외됐다.
최근 4년간 군 휴학한 의대생은 2021년 116명, 2022년 138명 ,지난해 162명으로 100명대에 불과했다가 올해 1059명으로 급증했다. 1년 전 대비 6.5배, 3년 만에 7배로 늘어난 것이다.
대학별로는 국립대가 358명, 사립대는 701명이 휴학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 대학의 경우 69명이 입대를 이유로 휴학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국방부는 매년 약 700명의 군의관 인력 수급 계획을 갖고 있으며, 의대생들은 일반적으로 의사 면허증을 취득한 뒤 군의관으로 입대해 39개월 동안 복무한다.
의대생들이 대거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면서 향후 군의관 인력 공급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진선미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으로 ‘의대’ 대신 ‘군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평년 대비 7배 이상 크게 늘었다”며 “정부는 조건부 휴학을 승인할 것이 아니라 의대생들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