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미국이 천문학적 재정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초당파 비영리 기구인 ‘책임 있는 연방예산위원회’(CRFB)가 7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공약이 이행될 경우 미 연방은 향후 10년간 7조5000억 달러(약 1경90조원) 상당의 재정적자를 떠안게 된다. 이는 같은 기간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공약이 불러올 재정적자 규모 3조5000억 달러의 두 배를 넘는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두 후보 모두 지출 삭감이나 세금 인상 대신 지출 확대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소득세·법인세 인하와 관세 인상을, 해리스 부통령은 중산층 감세와 법인세·부유세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마크 골드와인 CRFB 수석 부회장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양측 공약 모두 부채를 안정시키는 방향으로 가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의 재정적자 규모는 28조3000억 달러 이상으로 국내총생산(GDP)을 웃돌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약이 더 큰 재정적자를 초래하는 이유는 대규모 감세안에 있다. 미국 중도우파 싱크탱크 조세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약이 이행될 경우 향후 10년간 11조 달러(약 1경4800조원) 규모의 세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17년 시행된 트럼프 감세안 조치의 연장과 자녀세액공제로 인한 감세 규모가 각각 4조3000억 달러, 3조 달러로 추산됐다.
골드와인 부회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유세 때마다 새로운 감세 공약을 내놓고 있다”면서 “6주 전만 해도 해리스와 트럼프의 재정적자 증가 폭이 비슷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