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농업인을 육성하는 국립 한국농수산대학교의 자퇴율과 졸업 유예율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업 정예인력 양성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한국농수산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38명에 불과했던 자퇴생이 지난해 109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이미 80명의 학생이 자퇴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신입생의 자퇴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자퇴생 109명 가운데 신입생은 총 31명으로 전체 자퇴생의 36.5%를 차지했다.
졸업 유예생도 크게 늘었다. 지난 2018년 6명(1.6%)에 불과했던 유예생은 지난해 120명(26.7%)으로 폭증했다. 졸업을 앞둔 학생들이 영농 진출에 대한 부담으로 졸업을 유예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학교 커뮤니티에도 ‘자퇴 후 학비 반환’에 대한 문의 글이 여럿 올라왔다. 입학생에게 전액 장학금이 지원되지만, 자퇴할 경우 수업일수에 비례해 장학금을 반환해야 한다.
임 의원은 기술 중심의 낡은 커리큘럼을 자퇴율 및 졸업 유예율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농수산대 전학과 교육과정 대부분이 수년째 바뀌지 않고 주로 실무 중심의 기술 교육에 치중돼있다.
특히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1학년 학생들에게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교양 교육이 농수산대에서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전공과목도 대부분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어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 의원은 “청년 농업인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농업계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 양성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농수산대가 낙후된 교육 커리큘럼으로 인해 예비 농업인들이 영농을 포기하게 만든다면, 이는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교육 과정 전반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