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내년도 정원 논의 없다면 의사인력 추계기구 참여 안 해”

입력 2024-10-02 15:51 수정 2024-10-02 16:51
최안나 대한의사협회(의협) 대변인이 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의협과 대한의학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 의대정원 증원 논의에 대한 공동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전국의 의대 교수 등 의료계가 정부를 향해 2025년도 의대 정원부터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주장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의사인력 추계기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안나 의협 대변인은 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의료현안 브리핑’을 진행하며 이같이 발표했다.

최 대변인은 “정부는 2025년도 입시 절차가 시작됐다는 이유만으로 증원 철회가 불가능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지만, 2025년도 입시가 완전히 종료되기 전까지는 정부의 의지만 있으면 가능하다”며 “정부가 의제 제한 없이 논의하자고 하는 만큼 2025년도 의대 정원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협을 비롯해 대한의학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또한 정부와의 논의에 2025년도 의대 정원 의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히며 “이에 따라 우리는 복지부가 이달 18일까지 요구한 ‘의사인력 추계위원회 위원 추천’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의협은 지난달 30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1학기 휴학계를 일괄 승인한 것과 관련, 휴학 승인이 정당하며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고도 말했다.

의협과 의학회, 전의교협, 전의비는 이날 공동으로 입장문을 내고 “잘못된 의료정책에 반대하는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한 서울의대의 결정을 적극 지지한다”며 “아울러 교육부의 부당한 현장 감사와 엄중 문책 방침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서울의대의 옳은 결정이 전국 의대로 확산하기를 바란다”며 “교육부는 협박성 조치 예고를 즉각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