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양주시는 5년 전 대비 출생아가 증가한 10개 기초지자체에 포함되는 등 ‘살기 좋은 도시’의 위상을 입증했다고 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양주시는 5년 전 대비 경기북부 내 지자체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가 증가하며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출산율을 기록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출생아는 23만28명으로 5년 전인 2018년보다 9만6794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226곳 기초지자체 중 95.6%인 216곳에서 출생아 수가 감소했다.
반면 출생아 수가 증가한 지자체는 경기 과천시(318명), 경기 하남시(129명), 경기 양주시(117명), 광주 동구(81명), 인천 중구(64명), 전북 김제시(56명), 부산 동구(45명), 경기 평택시(42명), 충남 예산군(24명), 전남 무안군(24명) 등이다.
특히 경기북부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한 곳은 양주시가 유일하다. 양주시에서는 지난해 1421명이 출생했으며, 이는 2018년 태어난 1304명의 출생아보다 117명 많다.
양주시는 이번 출생아 수 증가의 배경으로 높은 혼인율을 꼽았다. 2023년 양주시의 조혼인율(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은 4건으로 전국 평균 3.8건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인다. 조혼인율은 1992년 전국 평균 9.6건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전국 평균이 4건 이하로 떨어졌다.
또한 양주시에는 수도권 동북부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옥정·회천 신도시 개발 사업으로 주거환경 좋아 신혼부부가 꾸준히 유입되는 등 앞으로도 출생률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은남 일반산업단지 및 양주테크노밸리 착공, 양주역세권 착공, GTX-C노선 국토부 승인, 서울 양주 고속도로 기재부 통과, 교육특구 시범지역 선정, 서부권 최초 광역버스 운행 등 교통·교육 등의 생활 기반 시설 확충으로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가속화돼 지역 혼인율 또한 높게 유지되고 있다.
이에 대해 강수현 양주시장은 “결혼을 포기하는 젊은 세대들이 많아지는 추세에서도 양주시가 높은 혼인율 및 출생률을 기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민선 8기 미래 2년 동안은 양주가 인구 50만 시대의 경기북부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양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