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수도요금 현실화율(원가 대비 요금)이 70% 아래로 떨어질 위기에 처했다. 관련 당기순손실 규모만 800억원대에 이르고 손실이 계속 누적되면 앞으로 3000억원대 지방채 차입까지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올해 수도요금 현실화율이 69.23%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와 비교해 수도요금이 14.5% 인상됐지만, 물가 상승 등으로 생산원가가 더 크게 올라가면서 수도요금 현실화율은 오히려 2.35% 포인트 낮아질 전망이다. 수도요금 현실화율이 떨어지면서 상수도사업본부의 올해 당기순손실 규모는 815억원에 이를 것으로도 분석됐다.
내년 예정된 대로 수도요금이 14.5% 추가 인상되면 수도요금 현실화율은 일시적으로 81.88%까지 회복될 수 있다. 하지만 내년과 2026년에도 각각 323억원, 440억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2027년부터 추가 인상이 없으면 수도요금 현실화율은 다시 70%대까지 내려올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상수도사업본부는 섬지역 급수 확대, 주요시설 투자 지속 등으로 손실이 계속 쌓이면 2026년부터 3300억원의 단계적 지방채 차입까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2027년부터 3년간 총 30% 이상의 수도요금 추가 인상 등이 필요하다. 30%의 추가 인상만 이뤄지더라도 2029년 수도요금 현실화율을 95.67%까지 올라갈 수 있다. 아울러 1인 가구 증가 등에 따른 수도전 관리 최소비용 보전을 위한 기본요금 현실화도 시급하다.
그러나 시민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수도요금 인상이 추진되기는 쉽지 않다. 앞서 상수도사업본부는 2022년 중장기 경영관리계획을 수립하면서 4년간 총 40%의 인상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놨지만, 시민 부담 등을 이유로 실제 인상은 올해와 내년 총 29%로 결정됐을 뿐이다.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섬지역 급수확대 및 시설노후화 개량 비용의 비약적 증가 등이 예상됨에 따라 수도요금 현실화 등을 바탕으로 한 재무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