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분위기 반전 기대…대구시·의회 대책 마련 분주

입력 2024-09-30 13:20 수정 2024-09-30 13:32
국민DB

대구시와 대구시의회가 저출생 문제 극복 방안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연구와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대구에 맞는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의회는 저출생 문제 해결책 마련을 위해 ‘출산율 제고를 위한 공공부문 정책 연구용역’을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미래 세대를 위한 지역 정책 발굴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를 위해 황순자 시의원 등 9명의 시의원이 모여 조직한 연구단체 ‘대구 희망포럼’이 추진한 것이다. 매년 낮아지는 출산율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대구 맞춤형 정책개발이 용역을 추진한 이유다.

희망포럼은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와 함께 지역에 특화된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희망포럼 소속인 이성오 시의원은 시에 저출생 정책 전담 부서 신설과 대구형 저출생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희망포럼은 용역을 통해 도출된 개선점 등을 공공부문뿐만 아니라 민간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장기적 계획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안정적 보육환경 조성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2025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 330곳 운영이 목표다. 이를 위해 신축·기존 공동주택 관리동 리모델링, 민간·가정 어린이집 장기임차 국공립 전환 등을 적극 추진한다. 국공립 전환 어린이집에 리모델링비 등을 지원한다.

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했다. 지난 2015년 3%였던 전체 어린이집 중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을 최근(올해 9월 기준) 30%(310곳)까지 높였다.

특히 대구는 올해 상반기에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민간가정 어린이집(6곳)이 국공립어린이집 장기임차 사업에 선정됐다. 시는 하반기에도 국공립 장기임차 선정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국공립어린이집 장기임차 사업은 우수한 민간, 가정, 법인·단체가 운영하는 어린이집을 국공립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다.

박윤희 대구시 청년여성교육국장은 “적극적인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통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대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