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간 경영권 분쟁의 배경에 중국의 광물 시장 지배력 확장에 대한 공포가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분석했다.
WSJ은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을 소개하면서 “세계 최대 아연 제련소를 놓고 갈등이 치열하다. 회사가 언젠가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분쟁을 부추기고 있다”며 “고려아연의 울산 온산제련소와 독자적 기술이 갈등의 핵심이다. 중국으로부터 독립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미국의 희망에서 ‘왕관의 보석(crown jewel)’과 같은 것”이라고 진단했다.
고려아연은 사모펀드인 MBK를 ‘기업사냥꾼’으로 규정하고 경영권을 내주면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로 한국의 산업경쟁력이 무너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MBK는 고려아연 경영권을 확보해도 중국에 지분을 팔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WSJ은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이 중국으로 기술이 이전될 가능성만으로도 세계 공급망 한 켠의 거래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서방 세계의 노력에도 광물 시장에서 중국의 우위는 니켈·코발트·리튬까지 많은 분야에서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영국 리서치·컨설팅 업체 우드매켄지에 따르면 지난해 아연 제련에서 중국의 시장점유율은 49%, 고려아연 및 관계사의 경우 8.5%로 집계됐다. 아연 시장에서 중국이 압도적 점유율을 차지한 셈이다.
호주 시드니대 미국학센터의 경제·안보 담당 디렉터인 헤일리 채너는 WSJ에 “중국의 광물 매입 영역이 아프리카에서 아르헨티나로 확장됐다”며 “언젠가는 고려아연, 그다음에는 세계의 수많은 기업이 같은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